010-4388-7138

우리말 경전

– 불교성전

유교경-遺敎經

작성자
관리자 스님
작성일
2005-07-15 09:59
조회
13832
                    
                         *** 佛 遺 敎 經***



             << 佛 遺 敎 經 科目 >>


<序分>(釋迦牟尼佛,初轉法輪,度阿若교陳如.- - -)

<正宗分>(汝等比丘.於我滅後,當尊重珍敬波羅提木叉.- - -)

<1>初明共世間法要.  
                                                                  
  1>初對治邪業法要 (邪業을 對治하는 法.)                                                                  
    ㄱ.初明根本淸淨戒 (근본 청정계를 밝힌다.)- - - 以戒爲師                                        
    ㄴ.次明方便遠離淸淨戒 (방편으로 세상을 멀리 떠나 淸淨하라는 戒를 밝힌다.)- - -持戒之相            
    ㄷ.三明戒能生諸功德 (戒律은 모든 功德을 낳음을 밝힌다.)- - - 正順解脫                            
    ㄹ.四說勤修戒利益 (戒를 가지기를 권해서 그 이익을 말한다.)- - - 持戒功德                        
                                                                                                          
  2>二對治止苦法要 (괴로움을 對治하는 法.)                                          
                                                                                          
    ㄱ.初根欲放逸苦對治                    
     1.初根放逸苦對治 (根(감각 기관)의 방일의 괴로움을 다스리는 법.)- - - 當制五根                  
     2.二欲放逸苦對治 (욕심의 방일의 괴로움을 다스리는 법.)- - - 制之一處
                            
    ㄴ.二多食苦對治 (많이 먹는 괴로움을 다스리는 법.)- - - 應量受食                                      
    ㄷ.三懈怠睡眠苦對治 (게으름과 졸음의 괴로움을 다스리는 법.)- - - 睡魔慙愧                                            
                                                                                      
  3>三對治滅煩惱法要 (번뇌를 對治하는 法.)                                                                
    ㄱ.初瞋애煩惱障對治 (성냄의 번뇌를 다스리는 법.)- - - 忍辱瞋애                                    
    ㄴ.二貢高煩惱障對治 (교만의 번뇌를 다스리는 법.)- - - 脫俗離慢                                    
    ㄷ.三諂曲煩惱障對治 (諂曲(아첨)의 번뇌를 다스리는 법.)- - - 質直爲本                                
                                                                                                          
<2>二明不共世間法要 (세상을 초월한 大人의 功德을 말한다.)---(謂成就出世間大人功德也)                                                                  

  1>初無求功德 (求함이 없는 功德.)- - - 少欲無求                                              
  2>二知足功德 (만족을 아는 功德.)- - - 吾唯知足                                              
  3>三遠離功德 (멀리 떠나는 功德.)- - - 寂靜遠離                                              
  4>四不疲倦功德 (게으르지 않는 功德.)- - - 精進無難                                            
  5>五不忘念功德 (알아차림을 지속하는 功德.)- - - 不忘念慧                                        
  6>六禪定功德 (선정의 功德.)- - - 攝心禪定                                                  
  7>七智慧功德 (지혜의 功德.)- - - 智慧明燈                                                  
  8>八畢竟功德 (戱論하지 않는 功德.)- - - 善不戱論                              
                                                                                                          
<流通分>                                                  
                                                                                                          
<1>初勸修流通 (닦기를 권하는 流通.)- - - 令不放逸                                            
<2>二證決流通 (깨달아 결정하는 유통.)- - - 無疑四諦                                          
<3>三斷疑流通 (의심을 끊게 하는 유통.)                                        
  1>初顯示餘疑 (남은 의심을 나타낸다.)- - - 夜見電光                                      
  2>二爲斷彼彼疑 (여럿의 의심을 끊게 한다.)- - - 大悲重說                                  
  3>三重說有爲無常相勸修 (세상의 덧없음을 말해 수행하기를 권한다.)- - - 會必有離
                    
<4>四囑付流通 (부탁하여 청촉하는 유통.)- - - 滅度                                        
                                                                                                          
                                                                                                          
                                                                                                          
                                                                                                          
<序分>

  釋迦牟尼佛,初轉法輪,度阿若교陳如.最後說法,度須跋陀羅.所應度者,皆已度訖於娑羅雙
  樹間,將入涅槃.是時中夜,寂然無聲.爲諸弟子,略說法要.

  석가모니부처님께서 처음으로 법의 바퀴를 굴리시어 아야 교진여등을 제도하시고, 최후의 설법으로 수발타라를 제도하시니, 제도할 사람은 모두 제도하시었다. 사라쌍수 사이에서 장차 열반에 들려 하시니, 이때 한밤중이라 사방은 고요하여 아무 소리도 없었다. 모든 제자를 위하여 간략하게 법의 요긴한 점을 말씀하셨다.  


<正宗分>

<1>初明共世間法要.  
                                                                  
  1>初對治邪業法要 (邪業을 對治하는 法.)                                                                  

    ㄱ.初明根本淸淨戒 (근본 청정계를 밝힌다.)-----以戒爲師

  汝等比丘.於我滅後,當尊重珍敬波羅提木叉.如闇遇明,貧人得寶.當知.此則是汝等大師.
  若我住世,無異此也.

  너희들 비구여, 내가 멸도한 후에 마땅히 파라제목차를 존중하고 보배같이 공경해야 한다. 마치 어둠 속에서 밝은 빛을 만난 듯, 가난한 사람이 보배를 얻은 것같이 해야 한다. 마땅히 알아야 한다. 이것은 너희들의 큰 스승이니, 만약 내가 세상에 머물드라도 이와 다를 것이 없느니라.

講說: 中阿含經卷第36 中阿含梵志品瞿黙目건連經第四(第三誦)에 佛滅後 얼마되지 않은 시기에 아난존자가 마가다국 왕사성 교외의 산수 목건련의 집을 방문했을 때에 마가다국 대신 우세와의 대화에서 아난존자는 비구의 열가지 條件을 설하고 있다. 즉,

1> 云何爲十? 雨勢! 比丘修習禁戒,守護從解脫,又復善攝威儀禮節,見纖芥罪,常懷畏怖,受
   持學戒.
   비구는 禁하고 있는 계율을 닦아 익히고 파라제목차를 수호하여야 한다. 또 위의와 예절을 잘 가져서 겨자씨처럼 작은 죄를 보더라도 항상 두려운 마음을 가슴에 품으며 戒學을 받아 지녀야 한다.

2> 比丘廣學多聞,守持不忘,積聚博聞,所謂法者,初妙.中妙.竟亦妙,有義有文,具足淸淨,顯
   現梵行,如是諸法廣學,多聞誦習至千,意所惟觀,明見深達.
   비구는 널리 배우고 많이 알아서, 그것을 잊어버리지 않고 지켜가져서 들었던 것을 마음에 쌓아 두어야 한다. 말하자면 法(가르침)이라는 것은 처음과 중간과 끝이 다같이 妙하여 뜻이 있고 이름이 있으며 淸淨을 구족하여 종교적 도덕생활과 수행을 나타낸다. 이와같이 모든 법을 널리 배우고 많이 듣고 외워 익혀서, 思惟 觀察한 바의 뜻을 밝게 보고 깊이 통달해야 한다.  
*千---明本作“于”.

3> 比丘作善知識,作善朋友,作善伴黨.
   비구는 선지식이 되어야하고 좋은 벗이 되어야하고 훌륭한 도반으로서 무리를 이루어야 한다.  
  
4> 比丘樂住遠離,成就二遠離,身及心也.  
   비구는 몸과 마음의 罪惡을 멀리 여의어서 몸과 마음의 깨끗함을 이루어야 한다.  
      
5> 比丘樂於燕坐,內行正止,亦不離伺,成就於觀,增長空行.
   비구는 즐겁게  坐禪하여 안으로 正止를 행하고 또한 관찰을 떠나지 아니하여야 한다.그리하여 觀을 이루어서 空行을 增長해야 한다.
  
6> 比丘知足,衣取覆形,食取充軀,隨所遊至,與衣鉢俱,行無顧戀,猶如鷹鳥,與兩翅俱,飛翔
   空中.
   비구는 만족할 줄을 알아야 한다. 옷은 몸을 가릴 정도면 되고 음식은 몸을 기르는 정도면 된다. 萬行하는 데에는 옷과 발우를 갖추고 행동은 무엇이든지 연연하여 되돌아 보지 말아야 한다. 마치 새가 두 날개를 갖추고 空中에 飛行하는 것과 같다.

7> 比丘常行於念,成就正念,久所曾習,久所曾聞,恒憶不忘.
   비구는 항상 알아차림을 닦아서 正念을 成就하여, 오래도록 일찌기 익힌 것과 들었던 것을 늘 기억하여 잊지 말아야 한다.
  
8> 比丘常行精進,斷惡不善,修諸善法,恒自起意,專一堅固,爲諸善本,不捨方便.
   비구는 항상 精進하여 善하지 않은 惡을 꾾고 모든 善法을 닦으며 항상 스스로 뜻을 일으켜서 오로지 한결같이 견고하게 하여 모든 선의 근본을 삼아서 방편을 버리지 않아야 한다.

9> 比丘修行智慧,觀興衰法,得如此智,聖慧明達,分別曉了,以正盡苦.
   比丘는 智慧를 닦아 存在의 興亡盛衰를 잘 觀察해야 한다. 그리하여 이와같은 智를 얻어서, 성스러운 지혜가 밝게 통달하여 모든 존재의 본모습을 분명하게 분별하여 환하게 알아서 이것으로서 올바르게 괴로움을 제거해야 한다.

10> 比丘諸류已盡,而得無류,心解脫,慧解脫,自知自覺,自作證成就遊..生已盡,梵行已立,
    所作已辦,不更受有,知如眞.
    비구는 모든 번뇌를 이미 다하여 무루를 얻고, 감성적 번뇌인 갈애를 해탈함과 이성적 번뇌인 無明(無知), 즉 어리석음을 해탈하여 스스로 알고 스스로 깨달아서, 스스로 완전한 깨달음을 성취하여 無碍 自在함을 이루어야 한다. 그리하여 生은 이미 다하고 해탈을 위한 종교적 생활과 수행을 이미 확립하여, 다시는 아라한과 같이 다음의 생존을 받지 아니함을 알아야 한다.  
                        

    ㄴ.次明方便遠離淸淨戒 (방편으로 세상을 멀리 떠나 淸淨하라는 戒를 밝힌다.)---
       持戒之相            

  持淨戒者.不得販賣貿易.安置田宅.畜養人民奴婢畜生.一切種植及諸財寶,皆當遠離,如避
  火갱.不得斬伐草木.墾土掘地.合和湯藥.占相吉凶.仰觀星宿.推步盈虛.歷數算計.皆所不
  應.節身時食.淸淨自活.不得參預世事.通致使命.呪術仙藥.結好貴人.親厚설慢.皆不應
  作.當自端心,正念求度.不得包藏瑕疵.顯異惑衆.於四供養,知量知足.趣得供事,不應畜
  積.

  깨끗한 계율을 가지는 자는 물건을 사고 팔거나 貿易을 하지 말며, 집이나 논밭을 마련하지 말며, 사람이나 노예나 짐승을 기르지 말며, 일체 種植과 모든 재보를 모두 마땅히 멀리 여의기를 마치 불구덩이를 피하듯 하여야 한다. 초목를 베거나 땅을 개간하지 말라. 藥을 만들거나 사람의 吉凶을 점치거나, 하늘의 별을 보고 점치거나, 세상의 흥망을 점치거나, 數를 놓아 마추는 일 등을 하지 말라. 모두 해서는 안될 일들 이다.
  몸을 바르게 갖고, 때를 정하여 공양하며, 청정하게 스스로 戒를 지키며 살아야 된다. 세상 일에 참여하여 관료의 심부름이나 하는 하수인이 되지 말며, 呪術을 부리거나 仙藥을 만들지(구하지) 말며, 貴人을 사귀어 친한 사람을 업신여기거나 웃 사람에게 버릇없이 굴지 말라. 이러한 일들은 모두 해서는 아니된다.      
  마땅히 자기 마음을 단정히 하고 바른 생각으로 남을 구제할 일이지, 자기 허물을 숨기거나, 이상한 행동으로 대중을 혹하게 하지 말라. 음식. 의복. 침구. 의약 등네가지 공양의 분량을 알고 만족하게 여기며, 받은 공양거리를 쌓아 두지 말라.


    ㄷ.三明戒能生諸功德 (戒律은 모든 功德을 낳음을 밝힌다.)---正順解脫  

  此則略說持戒之相.戒是正順解脫之本.故名波羅提木叉.因依此戒,得生諸禪定,及滅苦智
  慧.

  이것은 戒를 가지는 모양을 대략 말하였다. 戒는 해탈을 바르게 따르는 근본이다. 그러므로 파라제목차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이 戒를 의지하면 모든 禪定을 얻고 苦를 滅하는 지혜를 낼 수 있다.

                          
    ㄹ.四說勤修戒利益 (戒를 가지기를 권해서 그 이익을 말한다.)---持戒功德

  是故比丘,當持淨戒,勿令毁缺.若人能持淨戒,是則能有善法.若無淨戒,諸善功德,皆不得
  生.是以當知,戒爲第一安穩功德住處.

  그러므로 비구들은 마땅히 깨끗한 戒를 가져 어긋나지 않게 해야 된다. 만약 사람이 淨戒를 가지면 능히 좋은 법을 가질 수 있거니와 만약 淨戒가 없으면 모든 善功德이 생길 수 없다. 그러므로 戒는 가장 安穩한 功德이 머무는 곳임을 알아야 된다.    
                        
                                                                                                          
  2>二對治止苦法要 (괴로움을 對治하는 法.)                                          
                                                                                          
    ㄱ.初根欲放逸苦對治                    

     1.初根放逸苦對治 (根(감각 기관)의 방일의 괴로움을 다스리는 법.)---當制五根

  汝等比丘.已能住戒.當制五根,勿令放逸,入於五欲.譬如牧牛之人,執杖視之,不令縱逸.犯
  人苗稼.若縱五根,非唯五欲,將無涯畔,不可制也.亦如惡馬不以비制.將當牽人.墜於坑감.
  如被劫賊,苦止一世.五根賊禍,殃及累世.爲害甚重,不可不愼.是故智者制而不隨.持之如
  賊,不令縱逸.假令縱之,皆亦不久見其磨滅.

  너희들 비구는 이미 능히 戒에 머물거든 마땅히 五根을 제어하여야 한다. 마음을 방일시켜 오욕에 들어가지 않게 하라. 비유를 들자면 소치는 사람이 막대기를 쥐고 소를 주시하면서 날뛰는 소로하여금 남의 곡식을 먹지 못하게 하는 것과 같다. 만일 五根을 제멋대로 놓아두면 오욕으로 뿐만 아니라 갈려고 하는 곳이 끝이 없어서 제어할 수 없다. 또한 사나운 말과 같아서 재갈을 채우지 않으면 장차 사람을 끌어다 흙구덩이에 처박히게 할 것이다. 도둑의 침해를 당하는 것은 그 괴로움이 一生에 그치지만 五根이라는 盜賊의 禍는 그 災殃이 여러 生에 미치어, 그 피해가 심히 무겁다. 마땅히 삼가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므로 지혜 있는 이는 五根을 제어하여 따르지 않고, 그것을 잡아두기를 마치 도둑을 잡는 것과 같이하여 방일하지 않게한다. 가령 방일하게 하더라도 모두 또한 오래지 않고 그것이 磨滅함을 볼 것이다.        

                  
     2.二欲放逸苦對治 (욕심의 방일의 괴로움을 다스리는 법.)---制之一處

  此五根者,心爲其主.是故汝等當好制心.心之可畏,甚於毒蛇,惡獸,怨賊,大火越逸,未足喩
  也.譬如有人,手執蜜器,動轉輕躁,但觀於蜜,不見深坑.譬如狂象無鉤,猿후得樹,騰躍초
  척,難可禁制.當急挫之,無令放逸.縱此心者,喪人善事.制之一處,無事不辦.是故比丘,當
  勤精進,折伏汝心.

  이 五根은 마음이 그 주인이다. 그러므로 너희들은 마땅히 마음을 잘 제지해야 된다. 마음이 두렵기는 毒蛇나 惡獸, 怨賊보다 심해서 큰 불이 넘쳐 번지는 것과도 비교할 수 없다. 비유를 들자면 어떤 사람이 꿀 그릇을 손에 들고 이리저리 가볍게 움직이고 시끄럽게 떠들면서 단지 꿀만 보고 발아래의 깊은 구덩이를 보지 못하는 것과 같으며, 마치 미친 코끼리가 쇠로 만든 잡아 매어두는고삐가 없고, 원숭이가 나무를 타면서 이리 뛰고 저리 달림에 제지하기 어려움과 같다. 마땅히 급히 욕심을 꺾어서 방일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 이 마음을 풀어 놓아버리는 자는 사람의 착한 일을 잃어버리지만, 마음을 한 곳에 제어하면 갖추지 못할 일이 없다. 이런 까닭으로 비구는 마땅히 부지런히 정진하여 그 자신의 마음을 항복받아야 한다.                              


    ㄴ.二多食苦對治 (많이 먹는 괴로움을 다스리는 법.)---應量受食

  汝等比丘.受諸飮食,當如服藥.於好於惡,勿生增減.趣得支身.以除飢渴.如蜂採華,但取其
  味,不損色香.比丘亦爾.受人供養,趣自除惱.無得多求,壞其善心.譬如智者,籌量牛力,所
  堪多少,不令過分.以竭其力.

  너희 비구들아. 모든 음식을 받을 때에는 마땅히 약을 먹는 듯이 하고, 좋고 나쁜 것에 대하여 마음을 더하고 덜하지 말며, 몸을 지탱하고, 주리고 목마름을 없애는 것으로 여겨야 한다. 마치 꿀벌이 꿀을 딸 때에 단지 그 맛만을 취하고 빛깔이나 향기를 다치지 않는 것과 같다. 비구도 그와같이 사람들의 공양을 받을 때에 스스로의 번뇌를 제거하는 데에로 나아가, 함부로 공양을 많이 구하여 공양을 올리는 자의 착한 마음을 파괴하지 말라. 비유를 들자면 지혜 있는 자가 소의 힘이 감당할 수 있는 바가 많고 적음을 헤아려 소의 한계를 지나치게 하여 그 힘을 다 없애지 않게 하는 것과 같다.    

                                      
    ㄷ.三懈怠睡眠苦對治 (게으름과 졸음의 괴로움을 다스리는 법.)---睡魔慙愧                                            

  汝等比丘.晝則勤心.修習善法,無令失時.初夜後夜,亦勿有廢.中夜誦經,以自消息.無以睡
  眠因緣,令一生空過無所得也.當念無常之火,燒諸世間.早求自度,勿睡眠也.諸煩惱賊常伺
  殺人,甚於怨家.安可睡眠,不自警寤.煩惱毒蛇睡在汝心.譬如黑원在汝室睡.當以持戒之鉤
  早倂除之.睡蛇旣出,乃可安眠.不出而眠,是無慙人.慙恥之服,於諸莊嚴最爲第一.慙如鐵
  鉤,能制人非法.是故常當慙恥,無得暫替.若離慙恥,則失諸功德.有愧之人,則有善法.若無
  愧者,與諸禽獸無相異也.

  너희 비구들아! 낮에는 부지런한 마음으로 착한 법을 닦아 익혀서, 때(時期)를 잃지 않게 하며, 초저녁과 새벽에도 또한 공부를 廢하지 말며, 한 밤중에도 經典을 읽어서 스스로 소식이 있어야 한다. 睡眠을 因緣하여 일생을 아무 소득없이 헛되이 보내지 말라. 마땅히 무상의 불이 모든 世間을 태우고 있음을 잊지 말고 생각하여 조속히 자기를 구제할 것이요, 부디 잠만자지 말라. 모든 번뇌의 도적은 항상 사람을 엿보아 죽이는 것이 원수보다 심하다. 어찌 잠만 자고 스스로 경책하여 깨지않을 수 있겠는가. 번뇌의 독사가 너의 마음에 잠자고 있으니, 비유하자면 검은 뱀이 너의 방에 잠자고 있는 것과 다름없다. 마땅히 持戒의 칼로 빨리 물리쳐 없애야 된다. 잠자는 뱀이 이미 나간 뒤에야 비로소 편안히 잠잘 수 있는 것과 같다. 독사가 나가지 않은 데도 잠자고 있는 이는 부끄러워 함이 없는 사람이니, 부끄럼의 옷은 모든 莊嚴 가운데 가장 최고이다. 부끄럼은 마치 鐵로 만든 갈고리와 같아서 능히 사람의 법답지 않는 것을 제어한다. 그러므로 항상 부끄러워할 줄 알아서 잠시라도 폐지하지 말아야 한다. 만약 부끄러워하는 마음을 떠나면 모든 공덕을 잃어버린다. 부끄러워하는 사람은 착한 법이 있거니와 만약 부끄러움이 없는 사람은 모든 禽獸와 더불어 다를 바가 없다.                    

                                                                        
  3>三對治滅煩惱法要 (번뇌를 對治하는 法.)          

    ㄱ.初瞋애煩惱障對治 (성냄의 번뇌를 다스리는 법.)---忍辱瞋애                                    

  汝等比丘.若有人來節節支解.當自攝心,無令瞋恨.亦當護口,勿出惡言.若縱애心,則自放
  道,失功德利.忍之爲德,持戒苦行所不能及.能行忍者,乃可名爲有力大人.若其不能歡喜忍
  受惡罵之毒.如飮甘露者.不名入道智慧人也.所以者何.瞋애之害則破諸善法,壞好名聞.今
  世後世,人不喜見.當知瞋心,甚於猛火.常當防護,無令得入.劫功德賊,無過瞋애.白衣受欲
  非行道人,無法自制,瞋猶可恕.出家行道無欲之人,而懷瞋애,甚不可也.譬如淸冷雲中,霹
  靂起火,非所應也.

  너희들 비구여, 만일 어떤 사람이 와서 너의 사지 마디마디를 끊는다 해도, 스스로 마음을 거두어서 성을 내어 恨을 품지 말라. 또 입을 보호하여 나쁜 말을 하지말라. 만약 성내는 마음을 제멋대로 놓아두면 스스로가 道를 障碍하여 공덕의 이익을 잃고 만다. 참는 것이 德이 되는 것은 戒를 가지거나 苦行하는 것으로도 능히 미칠 수가 없다. 능히 참음을 행하는 者는 곧 힘 있는 大人이라고 이름할 수 있다. 만약 더러운 꾸지람의 毒을 참고 받아들이기를 마치 감로수를 마시듯이 기뻐하지 못하는 사람은 道에 들어간 지혜 있는 사람이라 하지 못한다. 왜냐하면, 성냄의 害는 모든 善法을 파괴하며, 좋은 名聲을 무너뜨리기 때문에 今世와 後世의 사람들이 기쁘게 보지 않음을 마땅히 알아야 한다. 성내는 마음은 맹렬히 타오르는 불보다 심하다. 항상 막고 보호하여 들어오지 못하게 해야 된다. 功德을 겁탈하는 도적은 성냄보다 앞서가는 것이 없다. 在家者는 욕심을 받아들이므로 道를 행하는 사람이 아니다. 스스로를 제어하는 법이 없기때문에 성냄도 오히려 용서받을 수 있지만, 出家하여 道를 행하는 욕심없는 사람이 성내는 마음을 품는 것은 심히 올바르지 못하다. 비유를 들자면 淸冷한 구름 가운데서 천둥이 쳐서 불을 일으키는 것과 같이, 應할 바가 아니다.  
          

    ㄴ.二貢高煩惱障對治 (교만의 번뇌를 다스리는 법.)---脫俗離慢                                    

  汝等比丘.當自驀.已捨飾好.著壞色衣.執持應器.以乞自活.自見如是.若起교慢.當疾滅
  之.增長교慢,尙非世俗白衣所宜.何況出家入道之人,爲解脫故,自降其身而行乞耶.

  너희들 비구여! 마땅히 자기의 머리를 만져보라. 이미 세속의 꾸밈을 버리고, 가사를 입었으며, 발우를 들고서 걸식으로써 스스로 살아가는 것이다. 자기 자신을 보기를 이와 같이 하라, 만약 교만이 일어나거든 빨리 없애야 한다. 교만을 높이 기르는 것은 오히려 세속 사람들로서도 마땅하지 않는데, 하물며 어찌 출가하여 道에 든 사람이 解脫하기 위하는 까닭에 스스로 그 몸을 낮추어서 乞食을 행함에 있어서랴.  

講說: <수타니파타 제4경>에서 석존은 농경자 바라드바쟈와의 대화를 통해 “걸식”과 “거지”의 다른 점을 잘 말해 주고 있다.
  먹을 것을 빈다는 점에서 보면 걸식과 거지와 차이가 없다. 어떤 점에서 출가자의 “걸식”과 “거지”가 틀리는 것일까. 출가자의 걸식은 걸식행이라고 하여 수행의 하나로 본다. 경에 이 걸식 수행의 참뜻을 예를 들어 가르치고 있다. 즉,

  
전체 0